통합검색
뉴스광장 검색결과
-
-
예산군,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 전개
- 예산군은 지하시설물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재난·재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알렸다.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 통신, 전기, 난방 등 7대 시설물과 너비 4m 이상의 도로를 대상으로 공간정보시스템(GIS) 기반 자료(DB)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은 무분별한 굴착공사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정확한 지하정보 확보를 통해 신속한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사업은 1994년 서울 아현동, 1995년 대구 지하철 등 대형 가스폭발사고를 계기로 제정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후속 조치이며, 최근 노후 상·하수도관 파열로 인한 싱크홀 사고 등이 빈번해지며 지하시설물의 정밀한 관리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군은 올해 도비 보조사업으로 총 2억7800만원을 확보해 삽교읍 일원의 상수관로 26㎞ 구간에 대해 공간정보 기반 정보(DB)를 구축할 계획이며, 4월 말 착수보고회를 개최한 데 이어 5월 초부터는 삽교읍 두리, 삽교리, 상성리, 방아리, 효림리, 월산리 일원에서 탐사 및 측량을 진행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구축된 자료는 오는 11월 공간정보품질관리원의 성과심사를 거쳐 국토교통부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에 탑재될 예정이며, 향후 도로 굴착공사 등 지하매설물 확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뉴스광장
- 사회
-
예산군,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 전개
-
-
예산은 줄이고 품질은 높이고…부여군 건설사업관리 ‘혁신 행정’ 성과
- 부여군이 하수도정비사업에서 통합 건설사업관리용역을 적극 도입하며 대규모 예산 절감과 시공 품질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군은 자왕지구, 조현·삼용지구, 마루골지구 하수도정비사업에 국비 포함 약 670억 원을 투입해 하수와 분뇨의 적정 처리를 추진 중이다. 이와 관련해 약 44억 원 규모의 통합건설사업관리용역을 2028년 1월까지 시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시공 품질 향상, 민원 감소, 하수도시설 내구연한 증대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며, 사업별 개별 용역 추진 대비 약 18억 원의 예산 절감 효과도 거둘 전망이다. 군 관계자는 “하수도 분야 전문 기술자의 지속적인 현장관리로 시공 품질이 높아지고, 공정 효율화와 민원 감소, 부족한 인력 보완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하수도 시설물의 내구연한 증대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지하시설물 안전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하수도 분야 건설사업관리는 품질과 안전 확보에 필수적”이라며 “효율적인 공사장 관리로 군민 불편을 줄이고 쾌적한 부여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부여군은 지난 3월에도 6개 공공건축물 건설에 대한 건설사업관리 감리용역을 통합해 약 52억 원의 예산을 절감한 바 있다. 이는 지난해와 올해 추진된 6개 사업의 개별 감리용역비(총 104억 원)와 비교해 절반에 달하는 비용을 아낀 것으로, 적극행정을 통한 재정 효율성 제고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부여군의 이 같은 노력은 재정위기 극복과 더불어, 군민들에게 더 나은 공공서비스 제공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 뉴스광장
- 사회
-
예산은 줄이고 품질은 높이고…부여군 건설사업관리 ‘혁신 행정’ 성과
지역뉴스 검색결과
-
-
예산군,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 전개
- 예산군은 지하시설물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재난·재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알렸다.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 통신, 전기, 난방 등 7대 시설물과 너비 4m 이상의 도로를 대상으로 공간정보시스템(GIS) 기반 자료(DB)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은 무분별한 굴착공사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정확한 지하정보 확보를 통해 신속한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사업은 1994년 서울 아현동, 1995년 대구 지하철 등 대형 가스폭발사고를 계기로 제정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후속 조치이며, 최근 노후 상·하수도관 파열로 인한 싱크홀 사고 등이 빈번해지며 지하시설물의 정밀한 관리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군은 올해 도비 보조사업으로 총 2억7800만원을 확보해 삽교읍 일원의 상수관로 26㎞ 구간에 대해 공간정보 기반 정보(DB)를 구축할 계획이며, 4월 말 착수보고회를 개최한 데 이어 5월 초부터는 삽교읍 두리, 삽교리, 상성리, 방아리, 효림리, 월산리 일원에서 탐사 및 측량을 진행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구축된 자료는 오는 11월 공간정보품질관리원의 성과심사를 거쳐 국토교통부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에 탑재될 예정이며, 향후 도로 굴착공사 등 지하매설물 확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뉴스광장
- 사회
-
예산군,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 전개
-
-
예산은 줄이고 품질은 높이고…부여군 건설사업관리 ‘혁신 행정’ 성과
- 부여군이 하수도정비사업에서 통합 건설사업관리용역을 적극 도입하며 대규모 예산 절감과 시공 품질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군은 자왕지구, 조현·삼용지구, 마루골지구 하수도정비사업에 국비 포함 약 670억 원을 투입해 하수와 분뇨의 적정 처리를 추진 중이다. 이와 관련해 약 44억 원 규모의 통합건설사업관리용역을 2028년 1월까지 시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시공 품질 향상, 민원 감소, 하수도시설 내구연한 증대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며, 사업별 개별 용역 추진 대비 약 18억 원의 예산 절감 효과도 거둘 전망이다. 군 관계자는 “하수도 분야 전문 기술자의 지속적인 현장관리로 시공 품질이 높아지고, 공정 효율화와 민원 감소, 부족한 인력 보완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하수도 시설물의 내구연한 증대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지하시설물 안전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하수도 분야 건설사업관리는 품질과 안전 확보에 필수적”이라며 “효율적인 공사장 관리로 군민 불편을 줄이고 쾌적한 부여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부여군은 지난 3월에도 6개 공공건축물 건설에 대한 건설사업관리 감리용역을 통합해 약 52억 원의 예산을 절감한 바 있다. 이는 지난해와 올해 추진된 6개 사업의 개별 감리용역비(총 104억 원)와 비교해 절반에 달하는 비용을 아낀 것으로, 적극행정을 통한 재정 효율성 제고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부여군의 이 같은 노력은 재정위기 극복과 더불어, 군민들에게 더 나은 공공서비스 제공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 뉴스광장
- 사회
-
예산은 줄이고 품질은 높이고…부여군 건설사업관리 ‘혁신 행정’ 성과
포토뉴스 검색결과
-
-
예산군,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 전개
- 예산군은 지하시설물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재난·재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알렸다.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 통신, 전기, 난방 등 7대 시설물과 너비 4m 이상의 도로를 대상으로 공간정보시스템(GIS) 기반 자료(DB)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은 무분별한 굴착공사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정확한 지하정보 확보를 통해 신속한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사업은 1994년 서울 아현동, 1995년 대구 지하철 등 대형 가스폭발사고를 계기로 제정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후속 조치이며, 최근 노후 상·하수도관 파열로 인한 싱크홀 사고 등이 빈번해지며 지하시설물의 정밀한 관리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군은 올해 도비 보조사업으로 총 2억7800만원을 확보해 삽교읍 일원의 상수관로 26㎞ 구간에 대해 공간정보 기반 정보(DB)를 구축할 계획이며, 4월 말 착수보고회를 개최한 데 이어 5월 초부터는 삽교읍 두리, 삽교리, 상성리, 방아리, 효림리, 월산리 일원에서 탐사 및 측량을 진행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구축된 자료는 오는 11월 공간정보품질관리원의 성과심사를 거쳐 국토교통부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에 탑재될 예정이며, 향후 도로 굴착공사 등 지하매설물 확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뉴스광장
- 사회
-
예산군,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 전개
-
-
예산은 줄이고 품질은 높이고…부여군 건설사업관리 ‘혁신 행정’ 성과
- 부여군이 하수도정비사업에서 통합 건설사업관리용역을 적극 도입하며 대규모 예산 절감과 시공 품질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군은 자왕지구, 조현·삼용지구, 마루골지구 하수도정비사업에 국비 포함 약 670억 원을 투입해 하수와 분뇨의 적정 처리를 추진 중이다. 이와 관련해 약 44억 원 규모의 통합건설사업관리용역을 2028년 1월까지 시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시공 품질 향상, 민원 감소, 하수도시설 내구연한 증대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며, 사업별 개별 용역 추진 대비 약 18억 원의 예산 절감 효과도 거둘 전망이다. 군 관계자는 “하수도 분야 전문 기술자의 지속적인 현장관리로 시공 품질이 높아지고, 공정 효율화와 민원 감소, 부족한 인력 보완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하수도 시설물의 내구연한 증대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지하시설물 안전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하수도 분야 건설사업관리는 품질과 안전 확보에 필수적”이라며 “효율적인 공사장 관리로 군민 불편을 줄이고 쾌적한 부여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부여군은 지난 3월에도 6개 공공건축물 건설에 대한 건설사업관리 감리용역을 통합해 약 52억 원의 예산을 절감한 바 있다. 이는 지난해와 올해 추진된 6개 사업의 개별 감리용역비(총 104억 원)와 비교해 절반에 달하는 비용을 아낀 것으로, 적극행정을 통한 재정 효율성 제고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부여군의 이 같은 노력은 재정위기 극복과 더불어, 군민들에게 더 나은 공공서비스 제공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 뉴스광장
- 사회
-
예산은 줄이고 품질은 높이고…부여군 건설사업관리 ‘혁신 행정’ 성과